편두통의 증상과 치료 1
페이지 정보

본문
편두통은 일반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과 다르게
머리 한쪽이 아픈 두통을 일컫는 말이 아닙니다.
꼭 한쪽에서 나타나지 않고 양쪽에서 다 나타날수 있으며
두통이 나타나기 전에 전구증상과 조짐이라는
특징적인 증상들을 동반하게 됩니다.
두통의 양상을 살펴보면
주로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머리에서 조이거나 터질듯한,
쿵쿵거리는 박동이 뛰는 양상의 통증이 있고,
구역, 구토, 빛이나 소리에 민감한 특징이 있습니다.
주로 그 정도가 심하여 일상에 지장을 받는 경우가 많고,
젊은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곤 합니다.
편두통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고
여러가지 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장 오래된 이론으로는
머리 쪽으로 가는 혈류가 늘어나 혈관이 확장되고,
이로 인해 뇌 주변 신경섬유가 압박을 받아 나타난다는 것이 있지만,
이는 편두통이 가지는 전조증상에 대해
설명해주기에 부족한 것이 있습니다.
또한, 유전적 또는 환경적 인자에 의해
편두통 발작에 대한 뇌의 역치가 낮아지게 되고
혈관에 분포한 신경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분비가 과도하게 일어나
편두통이 생긴다는 신경이론이 있습니다.
일반사람들은 통증을 느끼지 않는 자극에도
통증을 느낄 정도로 민감한 경우인데,
이는 뇌에서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영역이
과민해져 있는
편두통성 뇌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환자의 경우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감각들이 지나치게 예민해지고
혈관을 확장시키고
통증전달물질을 더 많이 전달하게 되어
편두통을 느끼게 됩니다.
편두통은 가족력을 가지며
부모님이 편두통이 있는경우
자식도 편두통이 생길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편두통은
증상에 대한 병력청취와 문진을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두통을 일으킬 수 있는 여타의 원인들을
검사를 통해 배제함으로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① 일측성 ② 박동성
③ 중등도 또는 심도의 통증
④ 일상적인 육체활동에 의한 악화
중 두 가지 이상,
① 구역 그리고/또는 구토
② 빛공포증과 소리공포증
중 한 가지 이상이 나타나는 발작이
5회 이상 나타나면
무조짐 편두통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와 같은 편두통 증상과 함께
조짐 증상이 동반된 발작이
2회 이상 일어나면
진단기준에 따라 조짐 편두통으로 진단 할수 있습니다.
- 다음글혹시 나도 자율신경실조증? 과학적 검사로 원인을 찾고 한의학으로 치료합니다. 25.10.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