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중신경마비의 증상과 치료
페이지 정보

본문
정중신경마비는
손의 바닥부분의 감각과 운동을 조절하는
정중신경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정중신경은 목에서 시작하여
팔을 따라 손목을 지나 손까지 주행하며,
감각에서는 손바닥쪽의 1~3지,
그리고 4지의 절반의 감각을 담당합니다.
4지의 나머지 절반과 새끼손가락의 감각은 척골신경이,
손등쪽의 감각은 요골신경이 지배를 합니다.
정중 신경은 또한
손 부위와 전완부(아래팔)의 앞쪽의
수근굴근, 수지굴근 위주의 근육을
움직이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정중신경이 손상되거나 압박되면
손의 감각이 무뎌지거나 이상한 감각을 느끼거나
손가락과 손목의 운동 기능이 떨어지는
정중신경마비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손목 부위의 신경이 눌려
정중신경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정중신경마비의 초기에는
근육 긴장이나 외상, 주위의 염증으로 인해
신경이 압박된 경우가 많으므로
청열해독 작용이 있는 황련해독탕과
노폐물과 어혈을 제거하는 도인과 단삼 등의 어혈약재와
주위 부종을 제거해주는 복령 택사 등의 리수소종 약재를
함께 사용해서 치료합니다.
일정 기간이 지나 증상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거나
팔, 손부위의 통증이 줄어들고
압통 등이 없는 경우에는
급성기가 지났다고 보고
신경회복을 도울 수 있는
귀기건중탕, 보중익기탕, 십전대보탕과 같은
보기보혈하는 처방을 가장 중심으로 하여
여기에 어혈을 없애고 신경전도를 개선시켜주는
속단 골쇄보 등의 약재와
혈액순환과 신경회복을 촉진시키는
육계, 부자, 건강과 같은 보양약을 증량하여 같이 더하여 사용합니다.
통증을 동반한 비증의 경우에는
염증과 부종, 통증을 줄여주는
황금, 황련, 황백을 증량하고
단삼, 은행엽 등의
혈액순환 개선 약재를 추가한 처방을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생활 습관의 변화가 중요합니다.
컴퓨터 작업시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할 때
손목 패드를 사용하여
손목을 지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팔을 많이 사용하는 작업을 한 후에는
팔 부위가 다시 회복될 수 있도록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손가락과 손목을 손등쪽으로 늘이는 스트레칭을 통해
굴근부위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스트레칭과 휴식을 통해
손목과 팔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켜
손목터널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다음글부신피로증후군의 증상과 치료 25.04.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